달력

4

« 2024/4 »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반응형

우한 폐렴

우한폐렴은 일반폐렴과 증상 비교가 어렵다고 합니다.

호흡기증상이 나타나기 때문에 처음엔 감기로 오해하기 쉽다고 합니다.

우한 대학병원의 최신 보고서에 따르면, 위의 증상과 함께 식욕 부진, 혼수상태, 구역질, 구토, 설사, 결막염, 가벼운 근육 통증 등의 증상들도 발생한다고 합니다.

발열과 기침 같은 호흡기 증상이 대표적인데,발열로 인한 오한, 근육통 등을 호소하기도 하는데, 이는 일반 폐렴이나 다른 바이러스감염에 흔한 증상이라 구별이 어렵다고 합니다.

우한 폐렴

원내 폐렴은 전체 병원감염의 약 15%를 차지하며, 특히 중환자실 환자에게 가장 많이 발생하는 병원감염으로 환자의 질병의 중증도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 원내 폐렴 발생은 환자의 중증도 뿐만 아니라 환자의 재원기간을 연장시키고 진료비를 상승시키는 영향이 크므로 병원감염관리의 주요 대상이 된다.

 

1. 원내 폐렴의 종류

1) 수술 후 폐렴

2) 침하성 폐렴

3) 바이러스성 폐렴

4) 기회감염성 폐렴

5) 인공호흡기 관련 폐렴

 

2. 원내 폐렴의 위험요인

1) 수술 : 특히 복부와 흉부에 수술을 받는 경우

2) 기도 내 흡인

3) 오염된 호흡치료 기구

4) 구강과 인두의 그람 음성 간균의 정착

5) 면역기전의 저하와 같은 경우

 

3. 원인균

1) 원외 폐렴 : S. pneumoniae

2) 원내 폐렴 : Klesiella spp., Enterobacter spp., Proteus spp., Pesudomonas spp., Serratia

spp., S.pneumoniae

3) 면역저하 환자 : 진균(Aspergillus spp.), 바이러스(CMV), 원충(Pneumocystis carinii)

4) 유아나 소아 : 인플루엔자, RSV(Respiratory Syncytial Virus)

 

4. 감염경로

1) 흡입(inhalation)

2) 흡인(aspiration)

3) 혈행성 전파

4) 주변 감염증의 파급

 

폐렴이 생기는 과정

 

5. 폐렴 감염관리 지침

1) 세균성 폐렴

병원 직원은 원내 폐렴 예방을 위한 감염관리지침에 대하여 교육을 받아야 한다.

임상적, 역학적 감염관리상의 목적 없이 정기적으로 환자나 호흡치료에 사용되는 기구에 대한 미생물 배양을 할 필요가 없다.

 

2) 숙주 감염 위험요인 교정

① 숙주의 감염에 대한 방어력을 증가시킨다 : Immune modulator의 투여

   폐렴구균 예방접종(Pneumococcal vaccination) : 폐렴구균 감염 고위험 환자에게 예방접종

    ⒜ 폐렴구균 다당류 백신 23-valent를 폐렴구균 감염의 합병증에 대한 고위험 환자에게 투여한다.

<고위험 환자>

- 65세 이상의 노인

- 564세의 만성 심질환 환자(:울혈성 심부전, 심근장애)이나 만성 폐질환(COPD, 기흉, 그러나 천식은 해당 안됨), 당뇨, 알코올중독자, 만성 간질환(간경화), 혹은 회척수액 누출을 가진 성인

- 564세의 기능적 혹은 해부학적 비장결손증 환자

- 564세의 열악한 환경에서 살고 있는 사람

- 5세 이상의 면역결핍 환자로 HIV 감염, 백혈병, 림프종, 호지킨병, 다발성골수종, , 만성 신부전, 신증후군, 또는 다른 면역결핍상태(조혈모세포이식(HSCT), 수혜자, 장기이식, 전신적 코티코스테로이드의 장기 사용과 같은 면역억제 화학요법)

- 장기요양기관에 있는 사람들

   ⒝ 폐렴구균 다당류 단백결합 백신 7-valent2세 미만의 모든 아이들과 24 ~59개월의 고위험 소아

<고위험 소아>

- 겸상적혈구성 빈혈과 다른 헤모글로빈 이상증, 기능적으로나 해부학적으로 비장결손증환아

- HIV감염

- 만성 심질환이나 폐질환(천식 제외), 당뇨, 최척수액 누출 등 만성 질환을 앓은 환아;악성종양, 만성신질환, 신증후군, 장기간 코티코스테로이드 투여 등 면역억제 화학요법, 장기이식 등으로 인해 면역결핍이 있는 환아들

- 2459개월 소아, 아메리카 인디언 아동, 알라스카 원주민 아동, 흑인 아동, 시설 아동을 우선적으로 예방접종한다.

 

② 흡인(aspiration) 예방

기관내튜브, 기관절개관튜브 또는 비위관 같은 기구는 임상적으로 필요가 없어지면 가능한 빨리 제거한다.

 

■ 기관내 삽관과 관련된 흡인의 예방

기관내 삽관의 사용기간을 줄이기 위해 NIV(Noninvasive ventilation)를 사용한다.

- 호흡부전은 있으나 기관내 튜브를 할 필요가 없는 환자(:갑작스런 COPD 악화나 심인성폐부종으로 과탄산 호흡 부전에 있는 경우)에게는 기관내 튜브를 하기보다 안면이나 비강 마스크를 통한 비침습적 양압 인공호흡기(NIV)를 사용한다.

 

- 기관내 튜브 기간을 짧게 하기 위하여 인공호흡기에서 weaning 과정에 있을 때 가능한

NIV(안면 또는 비강 마스크)를 사용한다.

 

이미 인공호흡기 치료를 받은 환자에게 가능하면 다시 기관내 튜브를 하지 않도록 한다.

 

금기가 아니라면 nasotracheal tube보다는 orotracheal tube를 사용한다.

 

여건이 되면 기관내 튜브의 커프 상부에 dorsal lumen이 있어 환자의 subglottic area

계속적으로 또는 자주 간헐적으로 흡입하여 기관내 분비물을 배출할 수 있도록 한다.

 

튜브를 제거하는 준비 과정에서 기관내 튜브의 커프를 수축하기 전에, 혹은 튜브를

움직이기 전에 분비물을 튜브의 커프 위에서부터 없애야 한다.

 

경관영양과 관련한 흡인 예방

금기사항이 아니라면 흡인성 폐렴(:비위관을 갖고 있거나 기계적으로 인공호흡을 하는

환자)의 위험이 높은 환자의 침대 머리를 3045 각도로 세운다.

 

영양 튜브의 위치가 적당한지 정기적으로 확인한다.

 

구강인두의 집락화의 예방

소독제를 이용하여 구강인두를 세척, 소독한다.


③ 수술 후 폐렴 예방

◆ 수술 전 환자, 특히 수축성 폐렴의 고위험 환자에게 잦은 기침, 심호흡과 수술 후 조기 이상 할 것을 교육한다.

<고위험 환자>

a.  전신 마취를 시행할 환자

b.  복부 대동맥류 교정, 흉부 수술, 응급 수술환자

c.  60세 이상 노인

d.  기능을 전적으로 의존하여 수행하는 환자

e.  체중이 10% 이상 감량된 환자

f.  만성 질환으로 인한 스테로이드 사용

g.  최근 음주력, 만성 폐쇄성 폐질환력, 전년도 흡연력

h.  지각기관의 아상, 뇌졸중으로 인해 남겨진 신경성장애, 혈액요소질소(BUN)8mg/dL미만이거나 22mg/dL 이상인 환자

I.  수술전 4units 이상의 혈액을 수혈 받은 환자

 

◆ 의학적으로 금기사항이 아니라면 수술 받은 환자에게 자주 기침하고, 심호흡을 하고, 침상

운동을 하고, 보행하는 것으로 격려한다.

 

◆ 수술 후 폐렴에 걸릴 위험이 높은 환자에게 inspirometer를 사용하도록 한다.

 

폐렴균

 

 

※[코로나 관련글]

코로나19 의료 폐기물/세탁물 관리

워킹스루 선별진료소/공중전화부스

코로나19 보호구 선택과 착탈의 방법

코로나 확진자 즉각 조치내용

코로나 검사 후기

코로나19 검체 검사 방법

코로나19 진단 검사비 지원 안내

코로나19 예방 올바른 손씻기 6단계

반응형
:
Posted by 민트 라벤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