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자안전 전담 인력 자격기준(환자안전 전담자를 위한 실무 팁!/전문자료까지~) 환자안전2020. 3. 16. 20:01
안녕하세요~^^
지난 시간에 환자안전법에 이어서 오늘 시간에는 환자안전 전담인력 자격기준에
대해서 소개해드릴까 합니다~
이 '안전널스맘' 블로그를 통해 환자안전에 대한 모든 정보를 얻으실 수 있고
그 외에 병원과 관련된 모든 정보를 한 눈에 알아보는 널스메디칼입니다.
1.환자안전 전담 인력의 자격기준은?
- 의사,치과의사 또는 한의사 면허를 취득한 5년 이상 보건 의료기간에서 근무한 사람
- 의료법 제77조에 따른 전문의 자격이 있는 사람 - 간호사면허를 취득한 후 5년 이상 보건의료기관에서 근무한 사람
2. 환자안전 전담 인력의 배치기준은?
- 200병상 이상의 병원.치과병원.한방병원 및 요양병원 : 간호사 1명 이상
- 100병상 이상 500병상 미만의 종합병원 : 간호사 1명이상
- 500병상 이상의 종합병원급은 간호사 2명
3. 환자안전 전담 인력 신고 사항은?
- 보건의료기관의 장은 전담인력 선임 및 해임,변경할 때마다 배치현황서를 보고시스템운영기간의 장에게 제출하여야 합니다. (환자안전법 시행규칙 제9조제5항
- 신규 배치시 첨부 서류 : 전담인력현황신고서,개인정보제공 및 자격요건 검증동의서,보건의료인면허증명서,건강보험득실확인서,재직증명서,교육이수증


4. 환자안전 전담 간호사의 필수 보수교육은?
- 교육시간은 매년 12시간 이상 보건복지부 장관이 위탁 교육을 승인해 준 교육 프로그램을 받아야하며 전담 인력이
새로 배치된 경우 6개월 이내 대면 교육 24시간 이 필수입니다.
5. 환자안전 전담 간호사의 역할은?
- 환자안전사고 정보의 수집 분석 및 관리 교육
- 환자안전사고 정보의 수집 분석 관리 공유
- 환자와 환자 보호자의 환자안전활동을 위한 교육
- 그밖에 보건복지부령으로 정하는 환자안전 활동
6. 환자안전 사건의 유형은?
- 환자확인오류,잘못된 부위(수술.시술),투약오류,낙상,수혈오류,수술합병증,상해,사망,의료관련감염 등 있습니다.
->다음 기회에 자료를 따로 올리도록 하겠습니다.
7. 환자안전 위해정도를 통한 분류를 알아 보겠습니다.
- 근접오류 : 환자에게 발생할 수 있었던 사고나 상황이 적절한 중재에 의해 환자에게 도달하지 않은 것
- 위해사건 : 예측할 수 없고 계획되지 않았던 손상 및 상해나 심각한 신체적,정신적 손상이 발생한 사건
- 적신호사건 : 환자의 기저 질환과 관계없이 예상치 못한 사망이나 주요 부위의 영구적 손상 가져온 사건.

[환자안전 관련글]
환자안전법이란??(제정 배경/주요 사건/제정 과정/코로나바이러스와 연관지어 살펴본 환자안전법의 예시)
안녕하세요^^ 여러분~ 요즘 코로나 바이러스로 모두가 힘든 가운데 여러분은 잘 이겨나가고 계신가요?? 저는 병원에서 환자안전전담자로서 맡고 있는 업무들을 열심히 수행중이랍니다~ 환자안전에 대한 업무를 수..
nursmedical.tistory.com
'환자안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코로나검사 후기 [검사시간,비용,절차,선별진료소] (11) | 2020.03.22 |
---|---|
코로나 추경~[코로나19 극복 추경 / 경제 정책/ 기획재정부 추경 편] (0) | 2020.03.20 |
코로나19 관련 정부 지원금 제도 종합 안내!![가족돌봄비용 지원] (0) | 2020.03.19 |
환자 확인률 모니터링(개방형 질문/모니터링을 위한 실무 팁/전문자료까지~) (0) | 2020.03.16 |
환자안전법이란??(제정 배경/주요 사건/제정 과정/코로나바이러스와 연관지어 살펴본 환자안전법의 예시) (0) | 2020.03.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