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자안전법이란??(제정 배경/주요 사건/제정 과정/코로나바이러스와 연관지어 살펴본 환자안전법의 예시) 환자안전2020. 3. 15. 22:53
안녕하세요^^
여러분~ 요즘 코로나 바이러스로 모두가 힘든 가운데
여러분은 잘 이겨나가고 계신가요??
저는 병원에서 환자안전전담자로서 맡고 있는 업무들을 열심히 수행중이랍니다~
환자안전에 대한 업무를 수행하면서 알게 된 사실들을 여러분께 전해드리고자 해요.
이 '안전널스맘' 블로그를 통해 환자안전에 대한 모든 정보를 얻으실 수 있고
그 외에 병원과 관련된 모든 정보를 한눈에 알아보는 널스메디칼입니다.
* 환자안전이란?
-환자의 상태 초점: "의료로 인해 발생한 우연한 또는 예방 가능한 손상이 없는것" ( Wachter, 2012 )
* 활동의 결과에 초점: "보건의료와 관련된 불필요한 위해의 위헌을 수용할수 있는
최소한의 수군으로 감소시키는 것" (WHO,2009)
1. 환자 안전법 제정 배경
- 2010년 정종현군, 2012년 강미옥씨 사망사건: 빈크리스틴 투약 오류 사건
- 2014년 안전 관련 사건 발생:세월호 사건, 유명 연예인 의료사고
- 2015년 메르스 사태
- 2015년 1월 28일 환자 안전법 공포
- 2016년 7월 29일 환자 안전법 시행
- 2017년 1월 09일 '재윤이법'통과
- 2020년 1월 코로나 19 사태~ 현재 진행형


2. 환자안전 관련 주요 사건
1) 정종현(2010),강미옥(2012) 사망 사건 : 빈크리스틴 투약 오류
- 정맥투여 해야 할 항암제 척수강내로 투약하는 '시타라반'으로 착각


2) 다나의원 사건
- 일회용 주사기 재사용으로 C형간염 감염
▶ 의료법 개정


3) 신해철 사망사건
▶ 의료사고 피해구제 및 의료분쟁 조정 등에 관한 법률 개정

<2014년도>
- 10월 26일 신해철 의료사고 의혹 논란
: 소장의 천공이 발견된 기록
- 10월 31일 유가족과 소속사의 고소장 접수
- 11월 03일 국과수 부검결과 발표
4) 메르스 사태 (2015)


5) 김재윤 군 (2017년) 사망사건: "재윤이법" 통과
- 재윤이 3세때 급성림프구성백혈병을 진단 받고 힘든 투병 중 사망당시 6세때
70여 차례의 항암치료를 이겨냈고 완치 판정을 눈앞에 두고 있었다.
하지만, 갑작스런 고열로 한 대학병원에 입원했다.그러면서 인공호흡기 등 응급 의료기기가
없는 일반주사실에서 수면진정제와 마약성진통제를 과다 투여하고 골수검사를 진행했다.
이 때문에 김군에게 심정지가 발생했고 대처가 늦어져 끝내 김군은 숨지고 말았다.
병원이 사고를 보건복지부에 보고하지 않아 논란이 됐습니다.


5) 그리고, 코로나 19 바이러스 (2020. 현재)


★[환자안전 관련글]
# 환자안전법#환자안전사업계획서#환자확인률#손위생 모니터링#지표관리#코로나19
'환자안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코로나검사 후기 [검사시간,비용,절차,선별진료소] (11) | 2020.03.22 |
---|---|
코로나 추경~[코로나19 극복 추경 / 경제 정책/ 기획재정부 추경 편] (0) | 2020.03.20 |
코로나19 관련 정부 지원금 제도 종합 안내!![가족돌봄비용 지원] (0) | 2020.03.19 |
환자 확인률 모니터링(개방형 질문/모니터링을 위한 실무 팁/전문자료까지~) (0) | 2020.03.16 |
환자안전 전담 인력 자격기준(환자안전 전담자를 위한 실무 팁!/전문자료까지~) (0) | 2020.03.16 |